아프리카의 눈물
MBC 다큐멘터리 ‘아프리카의 눈물’ 제작진의 휴먼다큐에세이
살아 있는 아프리카를 그대로 옮겼다
태양보다 뜨거운 땅에서 온 기적 같은 메시지!
사전 취재 1년, 307일간의 현지 촬영, 그 뒷이야기를 공개한다!
손에 잡힐 듯 생생한 아프리카의 대자연과 사람들의 이야기
인류와 환경에 대한 생생한 영상을 고품격 화면에 담아 ‘명품 다큐’로 많은 화제를 불러일으켰던 다큐멘터리 ‘지구의 눈물’ 시리즈. 그중 세 번째 작품인 ‘아프리카의 눈물’은 우리가 막연하게 알고 있던 대자연과 그곳에 살고 있는 부족민들의 삶을 깊숙한 부분까지 조명한 작품이다. 『아프리카의 눈물』(21세기북스)은 방송에서 미처 보여주지 못한 아프리카의 현실과 시청자들에게 단 한 장면을 보여주기 위해 고군분투한 ‘제작진들의 눈물’을 생생하게 담았다. 섭씨 50도를 웃도는 더위와 모래폭풍 속에서 잠을 자고, 멸종 위기에 놓인 사막 코끼리를 촬영하기 위해 몇날 며칠을 밤낮없이 잠복 취재한 사연, 사막 한복판에서 자동차 바퀴가 모래 구덩이에 빠져 물이 동나기 직전에 가까스로 구조된 사연, 부족 축제를 촬영하던 중 총알이 아슬아슬하게 비껴간 아찔한 사연 등을 만날 수 있다.
또한 이 책은 두 프로듀서가 아프리카 대륙을 관통하며 흐르는 ‘눈물’을 찾아 헤맨 기록이기도 하다. 아프리카에서 죽을 고비를 몇 번이나 넘긴 장형원, 한학수 PD는 아프리카를 ‘찬탄의 땅’이라 부른다. 아프리카는 지금 지속되는 가뭄과 무서운 속도로 번지는 사막화로 인해 최대 위기에 처해 있다. 초지는 황폐화되고 인간과 동물은 죽음이라는 벼랑의 끝에 몰려 있다. 하지만 그 속에서도 기적처럼 대지를 뒤흔드는 춤과 노래는 끊이지 않고, 사람들은 우리와 다름없이 사랑하며 살아가고 있다.
아프리카, 그들이 사는 법
메마른 대지를 품은 대륙의 주인들의 검은 눈물
아프리카의 북부, 세계 최대의 사막 사하라. 끝없이 황량한 모래언덕이 이어지는 그곳에서도 아이들은 뛰논다. 사막의 꽃이라 불리는 풀라니 족은 모래 바람을 온몸으로 맞으며 살아간다. 고단한 삶을 아름다움으로 승화시키려는 듯 온몸에 화려한 치장을 하고 춤을 추는 ‘게레올 축제’가 한창인 그 땅에서 척박한 자연과 화려한 치장이 어우러지는 장면은 코끝을 찡하게 한다.
남아프리카 모잠비크는 ‘아프리카의 눈물’의 대장정을 마무리한 의미 있는 땅이다. 흑인 폭동 당시 불타고 있는 한 남자의 사진은 ‘버닝맨’이라는 이름으로 서구 언론을 뜨겁게 달구었다. 제작진들은 그 사진 속의 남자를 찾아 나섰고, 사진 한 장에 담긴 아주 깊숙한 사연을 취재해냈다. 본명은 에르네스뚜. 평범한 이주 노동자에 불과했던 그는 폭동 당일 길을 걷다가 난데없이 습격을 받았고, 누군가가 그의 몸에 불을 붙였다. 지나친 가뭄으로 농업기반이 무너지고 노동자들이 살길을 잃어가자 그 반감이 외국인 노동자들에게 향했고, 착실하게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던 그는 난데없이 억울한 죽음을 맞은 것이다. 에르네스뚜는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기 위해 남아공으로 흘러들어온 이주 노동자들의 현실 그 자체였다.
킬리만자로의 만년설은 녹아내리고, 케냐의 초원은 메말라가고 있다. 훼손되는 자연 앞에 선 인간은 그 흐름을 당해낼 재간이 없다. 지구 온난화의 직격탄은 아프리카로 향하는 중이다. 저자들은 왜 환경 재앙이 불러오는 고통의 대가를 가장 순진무구한 자들이 치러야 하는지 우리에게 되묻는다. 생태계가 파괴되고 사람들이 굶주릴수록 부족 간, 국가 간 긴장상태는 악화되고 총성이 끊일 날이 없다. 우리 중 누구도 그들의 눈물과 무관한 사람이 없다. 그들의 눈물은 지구의 눈물이자 우리 인류가 미래에 흘릴 눈물이다.
저자 소개
장형원(MBC TV 시사교양 PD)
차보다는 커피를 좋아하고 스스로 ‘21세기 장년’이라 생각한다. 프로그램을 대할 때마다 연기緣起의 망網을 깨달으려 노력하고, ‘차이의 열정’이 느껴지지 않는 프로그램을 경계한다. ‘아프리카의 눈물’과의 인연으로 현재 MBC 중동·아프리카 지사장 겸 특파원으로 이집트 카이로에서 일하고 있다. 주요 작품으로는 ‘PD수첩-유영철 보고서’ ‘이제는 말할 수 있다-10.26 궁정동 사람들’ ‘MBC 스페셜-미국과 나’ ‘MBC 스페셜-6월민주항쟁 20주년 특집’ ‘신년기획 교육 3부작-열다섯 살, 꿈의 교실’ ‘MBC 스페셜-잃어버린 나의 아이’ 등이 있다.
한학수(MBC TV 시사교양 PD)
굴곡과 역경을 언제나 삶의 일부로 마주하고, 그것을 헤쳐 나가며 살고 있다. 강물이 도도하게 흘러 바다로 나아가듯, 그 속에서 하나하나의 속삭임과 느낌을 전하는 메신저가 되고자 한다. 주요 작품으로는 ‘이제는 말할 수 있다-한국의 진보 3부작’ ‘PD수첩-SOFA, 미군범죄의 면죄부인가?’ ‘PD수첩-불패신화 삼성무노조’ ‘PD수첩-황우석 사태 3부작’ ‘PD수첩-음지의 절대권력, 국가정보원’ ‘MBC 스페셜-그 해 겨울 의항리’ ‘MBC 스페셜-3만 5000원의 비밀’ ‘W’ ‘7일간의 기적’ ‘생방송 오늘아침’ 등이 있다. 아시안 TV 어워즈 작품상을 2회 수상했고, 국제언론인상(INPUT), 한국방송대상, 올해의 기획보도상(2005), 가톨릭 매스컴상, 위암 장지연상 등을 수상했다.
차례
Chapter 1 사하라 사막의 꽃, 풀라니
야빠드 뿌로블렘
아이슬란드 화산이 불을 뿜자……
사하라 사막에서 어떻게 살았나?
왜 나뭇잎과 벌레를 먹어요?
말리의 내 딸, 마야
입술 문신과 성형수술
꿀리발리와 유수프
말리의 사막 코끼리를 찾아서
코끼리는 영물 중의 영물
왜 새끼 코끼리만 죽었을까?
출구 없는 사우나,아찔했던 순간들
쓰라린 도곤 족의 기우제
Chapter 2 화장하는 남자들, 니제르의 게레올 대회
니제르 게레올을 찾아서
꽃미남 선발대회, 게레올
꽃미남 이브라힘은 왜 떨어졌는가?
수컷들의 요상한 우정
풀 먹는 사람들
Chapter 3 아프리카에서 부족으로 살아간다는 것
케냐, 쓰레기, 그리고 차이나프리카
아프리카에서 부족이란?
농사짓는 마사이?
눈물짓는 킬리
Chapter 4 축제의 부족, 카로
오모라떼의 풍뎅이탕
이러다가 똥꼬 헐겠네!
그 냥반들 언제 새끼 꼰대요?
부족 전쟁으로 노총각이 된 다르게
새침떼기 신부 우바
금기와 밍기
소 뛰어넘기 성인식
Chapter 5 최후의 전사, 수리
산악 부족 수리를 만나다
입술 원반, 아발레
소 피는 왜 먹나요?
새장가를 꿈꾸는 워레키보
처녀들의 문신과 신성한 샘물
동가 축제의 날
엎드려! 빨리 엎드리라고!
Chapter 6 국경의 끝에서 만난 다사니치와 투르카나
냥가톰 족의 소 내장 점占
블러드블레싱
아무르원은 제수씨를 거부했다
Chapter 7 버닝맨의 땅, 모잠비크
한 장의 사진이 던진 충격
나는 남아공에 갈 거예요
세피나는 왜 가라앉는가?
목동이 목을 축이는데,
눈물이 앞을 가리네
모랫길에서 아이를 낳다
마푸토의 폭동
버닝맨은 과연 죽었는가?
하마 잡다 사람 잡네
닭 두 마리와 빗물 목욕
본문 중에서
아프리카는 모든 면에서 결코 쉽지 않은 땅이었다. 사실 아프리카는 한마디로 정의하기 어려운 땅이다. 너무나도 넓고, 너무나도 다양하다. 아프리카를 한마디로 정의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고 무의미한 시도다. 아프리카의 뜨거운 땅 한 쪽에서 우리는 1년이 넘는 시간 동안 뜨거운 땀과 눈물을 흘렸다. ‘연탄재 함부로 차지 마라. 너는 누구에게 한 번이라도 뜨거운 사람이었느냐’라는 물음에, ‘그래, 그때는 나도 뜨거웠었지’라고 감히 말할 수 있을 정도로 그때는 몸도 마음도 뜨거웠다. (4쪽)
물을 마시느라 정신이 없는 사막 코끼리들을 촬영하느라 불과 약 30m 앞에서 본 적이 있다. 물 마시는 중간 중간 뭔가 이상한지 우리 촬영진 쪽을 바라볼 때마다 소름이 쫙 돋았다. 그러다 한 코끼리와 서로 눈이 마주쳤다. 그 짧은 순간, 여러 가지 많은 생각이 스쳐지나갔다. ‘아, 이렇게 죽는 건가’부터 ‘설마……’ 하는 기대까지. 그리고 지금까지 살아온 내 인생이 주마등처럼 스쳐 지나갔다. 다행히 코끼리가 눈을 거두고 다른 곳으로 시선을 돌리자 소리 없는 안도의 긴 숨을 내쉬었다. 그리고 코끼리에 대한 외경심畏敬心을 가지게 됐다. ‘아, 코끼리여, 살려줘서 감사합니다!’ (50쪽)
수리 족은 국가의 의미를 전혀 모르고 살았다. 말 그대로 아프리카의 절대 오지로 들어온 셈이었다. 자기 나라의 이름도 모르고 사는 사람들, 마치 국사책에 나오는 원시 부족 사회나 부족 연맹체 사회처럼 살고 있는 사람들! 그렇지만 그동안 겪어본 부족 중에서는 수리 족이 가장 순박하고 정이 많았다. 물론 우리에게도 너무 친절했다. 문명에서 멀수록 공동체의 의리와 때 묻지 않은 순수함이 충만하다는 이 역설! 우리에게 문명文明은 과연 무엇인가? (155쪽)
상황이 완전히 진정되지 않았는지 총소리가 간헐적으로 이어졌다. 불과 40~50m 안에서 이어지는 총소리였기 때문에 아주 크게 들렸다. 지미집을 들고 함께 숲으로 들어가는데 최정길 카메라맨과 김선일 코디도 뛰어 들어왔다. 우리 반대쪽에서 촬영하고 있었는데, 그쪽도 상황이 심각하게 돌아가자 낮은 포복으 로 뛰어온 것이었다. 숲이라야 공터 바로 옆인 곳에서 잠시 엎드려 동가 축제장을 주시하는 동안 놀란 부족민들이 우리 쪽으로 뛰어들고 있었다. (192쪽)
버닝맨은 죽었고 이제는 과거의 사건이 되었다고 누가 말할 수 있겠는가? 남아프리카의 폭동과 에티오피아의 부족 갈등, 그리고 사하라 사막 코끼리의 고통은 다른 이야기가 아니었다. 그것은 한 뿌리에서 삐져나온 서로 다른 색깔의 악성 종양이었다. 온난화가 가져온 생태계 변동은 아프리카의 자연과 사회, 그리고 개별 인간들의 삶 깊숙한 곳에 이미 피할 수 없는 소용돌이를 일으키고 있었다.
나는 그렇게 아프리카에서 눈물을 보았다. (274쪽)